티스토리 뷰

로그와 세그먼트 

  • 로그 : 메시지와 메타데이터를 저장
  • 데이터가 파일에 지속적으로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파일 시스템을 나뉘어서 저장됨
    • 000000000000.log, 000000000001.log.......
  • 세그먼트 파일 나뉘는 기준 
    • log.segment.bytes: byte 단위 기본값은 1G
    • log.roll.ms : 시간 주기 기본값은 7일
    • 1G로 기준을 세워도 7일이 지나면 다음 세그먼트로 넘어감 
  • offset : 레코드의 고유한 번호로, 프로듀서가 레코드를 만들어서 브로커로 데이터를 보내게되면 특정 파티션중 하나에 저장되는데 새로운 offset 번호를 지정하여 저장됨 
    •  위 이미지에서는 22개의 레코드를 가지고있음
    • 신규 레코드가 들어오기되면 offset 22로 들어감  
  • 가장 처음 만들어지는 offset 번호가 로그 파일 이름이됨 
    • offset 10 → 00010.log
  • 엑티브 세그먼트
    • 가장 마지막 세그먼트 (쓰기가 일어나고 있는 파일)
    • 프로듀서에서 레코드를 만들어서 보내면 엑티브 세그먼트로 보내짐. 
    • 브로커의 삭제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 
    • 엑티브 세그먼트가 아닌 세그먼트는 Retention 옵션에 따라 삭제 대상으로 삭제됨 

 

출처: 인프런 아파치-카프카-애플리케이션-프로그래밍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